반도체 기초 Chapter 12 - 2. MOSFET의 구조와 전류 관계식
Chapter 12 - 2. MOSFET의 구조와 전류 관계식
MOSFET에서는 절연성 산화막으로 인해 수직방향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수평방향 전류인 드레인 전류가 흐른다.
드레인 전류는 전도성 채널의 두께, 산화막 정전용량, 채널전하의 농도와 이동도에 의해 그 크기가 결정된다.
MOSFET의 전류-전압 특성을 유도하기 위한 과정
1. 기판 단자는 소스와 전위가 동일하다.
2. 게이트 전압은 임계전압보다 크게 인가된다.
3. 채널전하의 이동속도는 드레인 전압에 의해 형성된 수평 방향 전계의 세기에 비례한다.
4. 전류-전압 관계식은 선형영역이다.
MOSFET의 전류 형성
MOSFET을 포함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전자 또는 정공 중 한 종류만 전도성 채널을 형성하고 전류를 만드는 유니폴라(unipolar) 소자이다.
선형 영역의 전류-전압 특성
선형 영역
드레인 전압이 아주 작을 때 MOSFET의 드레인 전류는 드레인 전압에 선형적으로 비례한다. 이때 MOSFET의 채널 영역은 게이트 전압에 의해 조절되는 가변저항과 같다.
채널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채널 영역 전하의 이동도
- 게이트 전압, 임계전압
- 소자의 크기 (게이트 폭과 길이)
- 산화막 정전용량
선형 영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드레인 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기판 페르미 전위, 평탄대역 전압, 산화막 정전용량
- 게이트 전압과 드레인 전압
포화 영역의 전류-전압 특성
임계전압보다 큰 게이트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MOSFET에 전도성 채널이 형성된다. 드레인 전압이 증가할수록 드레인 전류는 증가가 둔해진다.
- 핀치 오프 (pinch off)
드레인 전압이 크게 인가되면 드레인 부분에서 채널이 소멸된다.
- 드레인 포화전압
핀치 오프되는 전압 또는 드레인 전압이 증가하더라도 드레인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시작하는 전압
- 드레인 포화전류
드레인 포화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일정하게 유지되는 드레인 전류
게이트 길이가 짧을 때는 포화 영역이라도 드레인 전류가 증가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요약
MOSFET의 드레인 전류는 전도성 채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며 게이트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전류-전압 특성 유도과정은 기판과 소스가 동일한 전위에서 게이트 전압이 인가되어 전류가 발생하며 선형 영역과 포화 영역으로 나뉜다.
포화 영역에서는 드레인 전류가 드레인 전압에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며 핀치 오프 상태와 포화전류의 개념이 중요하다.
참고
차단 상태와 핀치 오프 상태 차이
- 차단 상태: 게이트 전압이 임계전압보다 작아서 소스부터 드레인까지 전 영역에 전도성 채널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
- 핀치 오프 상태: 전도성 채널이 형성되어 있지만 드레인 전압이 커서 드레인 부분에서 채널 소멸 상태가 나타난 상태
게이트 길이에 따른 현상
- 게이트가 긴 MOSFET: 큰 드레인 전압이 인가되면 채널이 소멸되지만 그로 인한 전기적 특성의 변화는 무시한다.
- 게이트가 짧은 MOSFET: 큰 드레인 전압이 인가면 수평 방향 전계 이외에 다른 힘의 증가에도 기여한다. 그로 인한 전기적 특성의 변화는 무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