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기초 이론 정리

반도체 기초 Chapter 12 - 5. 큰 드레인 전압이 인가된 MOSFET의 특성

tungtung2 2024. 4. 1. 10:18
반응형

Chapter 12 - 5. 큰 드레인 전압이 인가된 MOSFET의 특성

 

 

n - MOSFET의 채널 전하(전자)는 드레인 전압에 의해 수평 방향 전계가 형성되면 그 힘을 받아 소스에서 드레인으로 일정한 속도로 드리프트 된다.

 

과열 이동전하

이동전하의 운동 에너지가 주변의 온도에 의한 열 에너지에 비해 훨씬 큰 상태

 

MOSFET의 포화 영역 상태에서는 전계의 세기는 드레인 접합 부근에서 가장 강하다. 따라서 그 부근에서 채널 전하는 큰 운동에너지를 얻는다.

과열 이동전하는 격자 충돌 시 충돌 이온화 과정을 일으킨다. 따라서 채널 영역에 전자-정공 켤레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전자는 드레인 방향으로 이동하고 정공은 소스 또는 기판영역으로 이동한다.

이 현상에 의해 MOSFET으로서 전기적 특성이 변화한다. (기생 BJT가 만들어진다.)

 

과열 이동전하가 될 가능성이 높을 때

- 수평 방향 전계(드레인 전압)가 강할수록

- 평균 충돌거리가 길수록

 

 

  • MOSFET의 눈사태 붕괴

과열 이동전하가 형성되면 충돌 이온화에 의한 전자정공이 생성되어 그 농도도 급격하게 증가한다. 이어서 드레인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는 MOSFET의 눈사태 붕괴 현상이 발생한다.

 

충돌 이온화에 의해 생성된 전자의 특성

- 수평 전계에 의해 드레인으로 드리프트 되어 드레인 전류에 합류한다. (드레인 전류 증가)

 

충돌 이온화 과정에 의해 생성된 정공의 특성

- 일부는 수평 전계에 의해  소스로 드리프트되어 드레인 전류에 합류한다. (드레인 전류 증가)

- 일부는 기판에 축적되어 기판의 전위를 상승시킨다. (기판전압 효과에 의해 임계전압 감소)

- 일부는 수직 전계에 의해 기판으로 주입된다. (기판 전류 형성)

 

 

MOSFET의 눈사태 붕괴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

- 채널의 길이를 길게 한다.

- 기판영역의 도핑 농도를 낮춘다.

- 기판을 충돌 이온화에 필요한 에너지가 큰 재료를 사용한다.

 

하지만 위 방법들은 MOSFET의 성능 저하를 함께 일으킨다. 따라서 채널 길이와 기판 농도는 바꾸지 않고 드레인 접합 부분에 낮게 도핑된 드레인(Lightly Doped Drain : LDD)을 추가 주입해서 높은 드레인 전압에서도 눈사태 붕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요약

큰 드레인 전압이 인가되면 MOSFET의 운동에너지는 드레인 전압에 의한 수평 방향 전계의 세기와 평균 충돌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과열 이동전하는 충돌 이온화로 전자-정공 켤레를 생성하여 MOSFET의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킨다.

MOSFET의 눈사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채널 길이를 길게 하거나 기판 영역의 도핑 농도를 조절하는 대신 LDD(Lightly Doped Drain)을 추가하여 눈사태 붕괴 현상을 피한다.

 

 

 


참고

MOSFET의 채널전하가 수평 방향 전계에 의해 이동할 때 평균적으로 그 속도가 일정한 이유

수평 방향 전계에 의해 얻는 운동에너지 = 평균 충돌거리만큼 이동하면서 격자충돌에 의해 잃는 운동에너지

 

MOSFET의 눈사태 붕괴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이 불러오는 성능 저하

1) 채널의 길이를 길게 했을 경우

- 전류 구동 능력 저하

- 전달 컨덕턴스 저하

 

2) 기판영역의 도핑 농도를 낮출 경우

- MOSFET의 임계전압 변화

 

3) 드레인 접합 부분에 낮게 도핑된 드레인(LDD)을 사용했을 경우

- 소스와 드레인 기생 저하 증가

- 드레인 전압에 의한 *채널길이 변조 현상 발생

 

* 채널길이 변조 현상: 포화영역 상태 전압을 넘어서는 큰 드레인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채널길이가 짧아져서 드레인 부근의 채널 일부가 소멸되는 현상

반응형